세계여성인사 135명, 유엔사무총장에게 코리아전쟁종식을 요구하는 편지발송 > 미주/해외/국제

본문 바로가기
미주/해외/국제

세계여성인사 135명, 유엔사무총장에게 코리아전쟁종식을 요구하는 편지발송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6-10-26 10:20 댓글0건

본문

 

 

 

 

세계여성인사 135명, 유엔사무총장에게 코리아전쟁종식을 요구하는 편지발송

 

 

편집국

 

 

지난 9월 27일 세계 38개 나라 각계의 진보적인 여성인사들이 유엔사무총장에게 코리아반도에서의 평화협정체결을 강력히 요구하는 편지를 보냈다. 

 

우리민족끼리 사이트의 보도에 따르면 참여한 여성들은 편지에서 외교만이 코리아전쟁을 종식시키는 유일한 출로라는 스스로의 믿음에 다라 《세대와 세대를 전쟁의 참화로부터 구원하기 위하여》창설된 유엔의 지도자로서 2007년 연설에서 한 약속을 지킬 것을 촉구하였다.

 

그것을 위하여 1. 코리아반도의 전쟁을 끝낼 구속력 있는 평화협정으로 교체하기 위한 평화과정을 시작할 것, 2. 이 평화과정을 코리아가 두개로 분열된지 70년이 되는 2018년까지 결속할 것을 목표로 할 것, 그리고3. 평화과정에 더 많은 여성들이 참가할수 있도록 담보할 것을 요구하였다.

 

전문은 다음과 같다.

 


 

 

조선반도에서의 평화협정체결은 전세계적범위에서의 평화와 안전을 가져올것이다

 

-세계 각국의 녀성인사들이 유엔사무총장에게 보내는 편지-

 

 

지난 9월 27일 세계 38개 나라 각계의 진보적인 녀성인사들이 조선반도에서의 평화협정체결을 강력히 요구하는 편지를 유엔사무총장에게 보내였다.

 

편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엔본부 반기문유엔사무총장 앞 2016년 9월 27일

반기문유엔사무총장선생.

 

우리는 대다수가 조선전쟁에 참가한 나라들을 포함한 38개 나라들의 녀성지도자들입니다. 우리들은 학계, 기업계, 사회계, 군부출신들로서 다양한 인종과 민족, 종교와 정견을 대변하고있습니다. 우리는 외교만이 조선전쟁을 종식시키는 유일한 출로라는 스스로의 믿음에 따라 단결하였습니다.

 

1953년 7월 27일 미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은 조선전쟁을 중지할데 대한 정전협정에 서명하였습니다. 그들은 3개월내에 정전을 구속력있는 평화협정으로 교체하기 위한 회의를 다시 열기로 약속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일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으며 이후 북남관계와 조미관계는 고질적인 전쟁상태로 특징지어졌습니다. 이 전쟁은 반드시 끝장나야 합니다. 

 

우리는 당신이 《세대와 세대를 전쟁의 참화로부터 구원하기 위하여》창설된 유엔의 지도자로서 2007년 연설에서 한 약속을 지킬것을 요구합니다.

 

그때 당신은 《우리는 북조선핵문제의 평화적해결을 초월하여, 정전으로부터 항구적인 평화체계에로의 전환을 통하여 평화구조를 수립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여야 한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조선은 제2차 세계대전후 분렬된채로 남아있는 유일한 민족입니다. 3대에 걸쳐 수백만의 가족들이 세계에서 가장 군사화된 분렬선에 의하여 갈라져있습니다. 우리는 당신이 유엔의 공직을 떠나기 전에 가장 오래동안 지속되여오고있는 전쟁상태를 공식적으로 마감짓는 과정을 이끌것을 강력히 요구합니다. 

 

우리는 당신이 사무총장으로 남아있는 기간에 다음과 같이 할것을 요구합니다.

 

1. 유엔상임리사회 의장과 함께 1953년 정전협정을 조선전쟁을 끝장내는 구속력있는 평화협정으로 교체하기 위한 평화과정을 시작하라.

 

2. 이 평화과정을 조선이 두개로 분렬된지 70년이 되는 2018년까지 결속할것을 목표로 하라.

 

3. 유엔상임리사회결정 1325호의 정신에 따라 평화과정에 더 많은 녀성들이 참가할수 있도록 담보하라.

 

비무장지대의 량쪽에 구속력있는 평화협정이 없는것은 전쟁준비에 자원들을 동원하는것으로 하여 두려움, 인권침해, 경제적손실만을 초래하고있습니다. 1950년부터 조선은 미국의 핵위협과 미국-남조선군사훈련에 의한 전쟁위협을 받아왔습니다. 더우기 최근 남조선에 미국의 《싸드》를 배치할것을 결정한데 대해 지역나라들은 이것을 매우 도발적이며 잠재적으로 안전을 파괴하는 행위로 간주하고있습니다.

 

평화는 모든 위협에 대한 가장 강력한 억제력입니다.

 

국제적평화와 안전을 유지할 책임을 지닌 유엔의 사무총장으로서 당신이 조선전쟁을 평화협정을 통하여 공식적으로 종식시키는 조치를 취할것을 요구합니다. 그렇게 하는것은 지역에서 높아가는 군사화와 세계에서의 핵무기확산을 억제함으로써 보다 광범한 세계적범위에서의 평화와 안전을 가져올것입니다.

 

국제공동체는 더이상 조선인민들이 당하고있는 비극을 무시할수 없습니다.

 

우리는 당신이 조선과 동북아시아, 세계의 평화를 위한 외교적업적을 남기며 당신의 개인적인 능력으로 계속 조선에서의 평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관여하기를 바랍니다.

경의를 표합니다.

 

편지를 보낸 세계 각국의 녀성인사 135명은 다음과 같다.

 

1.    Abigail Disney, USA, Filmmaker and Philanthropist 아비게일 디즈니, 미국, 영화제작자, 인도주의활동가

2.    Aiyoung Choi, USA, Steering Committee Member, Women Cross DMZ 최애영, 미국, 국제녀성대행진단 《위민크로스》 운영위원회 성원

3.    Alice Slater, USA, Coordinating Committee Member, World Beyond War 앨리스 슬레이터, 미국, 《전쟁을 초월하는 세계》조정위원회 성원

4.    Alice Walker, USA, Author and Activist 앨리스 워커, 미국, 작가, 활동가

5.    Amina Mama, Nigeria/USA, Professor,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아미나 마마, 나이제리아/미국, 데이비스캘리포니아종합대학 교수

6.    Amira Ali, Ethiopia, Author and Activist 아미라 알리, 에티오피아, 작가, 활동가

7.    Ana Oliveira, USA, Philanthropist 아나 올리베이라, 미국, 인도주의활동가

8.    Anasuya Sengupta, India, Feminist author and activist, co-founder Whose Voices? 아나수야 셍굽타, 인디아, 녀성옹호작가, 활동가, 《누구의 목소리인가?》 공동창설자

9.   Ani DiFranco, USA, Singer, Songwriter, Poet, Multi-instrumentalist & Businesswoman 애니 디프랑코, 미국, 성악가, 작곡가, 시인, 다양한 악기연주가, 기업가

10.  Anne Delaney, USA, Artist and Philanthropist 앤 델라니, 미국, 예술가, 인도주의활동가

11.  Anuradha Mittal, USA, Executive Director, Oakland Institute 아누라다 미탈, 미국, 오클랜드연구소 집행국장

12. Ann Patterson, Northern Ireland, Peace People 앤 패터슨, 북아일랜드, 《피스 피플》(《평화인민》)

13.  Ann Wright, USA, Retired US Army Colonel & Diplomat 앤 라이트, 미국, 미륙군 퇴역대좌, 외교관

14.  Anne Beldo, Norway, Lawyer and Partner of Hegg & Co. Law Firm 앤 벨도, 노르웨이, 변호사, 헤그법률회사 리사

15.  Annette Groth, Germany, Member of Bundestag 아네테 그로스, 도이췰란드, 하원의원

16.  Annie Isabel Fukushima, USA, Professor, University of Utah 애니 이자벨 후쿠시마, 미국, 유타종합대학 교수

17.  Audrey McLaughlin, Canada, Former President, Socialist International Women 오드리 맥로플린, 카나다, 전 국제사회주의녀성당 위원장

18.  Betty Reardon, USA, Founding Director of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n Peace Education 베티 리어든, 미국, 국제평화교육연구소 창설소장

19.  Brinton Lykes, USA, Professor, Boston College 브링톤 라익스, 미국, 보스톤대학 교수

20.  Charlotte Wiktorsson, Sweden, Swedish Physicians Against War 샬로트 윅토슨, 스웨리예, 《스웨리예전쟁반대의사들》단체

21.  Christine Ahn, USA, International Coordinator, Women Cross DMZ 크리스틴 안, 미국, 국제녀성대행진단 《위민크로스》 국제조정관

22. Chung-Wha Hong, USA, Executive Director, Grassroots International 홍정화, 미국, 《그라스루쯔 인터내셔널》집행국장

23.  Cindy Wiesner, USA, Grassroots Global Justice Alliance National Coordinator 씬디 와이스너, 미국, 《그라스루쯔 글로벌 쟈스티스 얼라이언스》(《민중세계정의련맹》) 전국조정관

24.  Coleen Baik, USA, Twitter @Design Alumna 콜린 백, 미국, 트위터《디자인 앨룸나》

25.  Cora Weiss, USA, Founder, Hague Appeal for Peace 코라 와이스, 미국, 《헤그평화호소》창설자

26.  Cynda Collins Arsenault, USA, Philanthropist, Secure World Foundation 씬더 콜린즈 아스놀트, 미국, 인도주의활동가, 《씨큐어 월드》재단

27.  Cynthia Enloe, USA, Professor, Clark University 씬시아 에놀, 미국, 클라크종합대학 교수

28.  Deann Borshay Liem, USA, Filmmaker 딘 보쉐이 림, 미국, 영화제작자

29. Don Mee Choi, USA, Poet & Translator, International Women’s Network Against Militarism 최돈미, 미국, 시인, 번역원, 군국주의반대국제녀성네트워크

30.  Dorchen A. Leidholdt, USA, Attorney, Professor, Feminist 도췐 레이돌트, 미국, 검사, 교수, 녀성옹호활동가

31.  Ekaterina Zagladina, Russia, Permanent Secretariat, Nobel Peace Summit 예까쩨리나 자글라지나, 로씨야, 노벨평화수뇌자회의 상설서기국

32.  Elaine H. Kim, USA, Professor,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엘라인 김, 미국, 버클리캘리포니아종합대학 교수

33.  Eleana J. Kim, Professor, Department of Anthrop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엘리나 김, 어바인캘리포니아종합대학 인류학부 교수,

34.  Ellen Carol DuBois, Professor, History and Gender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엘렌 캐롤 듀보이스, 로스안젤스 캘리포니아종합대학 력사 및 성별학교수

35.  Emilia Castro, Canada, Co-Representative of Intl. Committee, Americas Region, World March of Women 에밀리아 카스트로, 카나다, 세계녀성행진아메리카지역국제위원회 공동대표

36.  Eve Ensler, USA, Playwright 이브 엔슬러, 미국, 극작가

37.  Fiona Dove, Netherlands, Executive Director, Transnational Institute 피오나도브, 네데를란드, 초민족연구소집행국장

38.  Fragkiska Megaloudi, Greece, Journalist 프래키스카 매갈로우디, 그리스, 언론인

39.  Frances Kissling, USA, University of Pennsylvania; former President, Catholics for Choice 프랜시스 키싱, 미국, 펜실바니아종합대학 전 총장, 선택의 카톨릭교

40.  Francisca de Haan, Netherlands, Professor, Central European University 프란시스카 데 한, 네데를란드, 중앙유럽종합대학 교수

41.  Gabriela Zapata Alvarez, Mexico, Consultative Group to Assist the Poor 가브리엘라 자파타알바레즈, 메히꼬, 빈민구제자문그룹

42.  Gay Dillingham, USA, Filmmaker, Former Advisor to Governor Bill Richardson 게이 딜링엄, 미국, 영화제작자, 빌 리챠드슨주지사 전 고문

43.  Glenda Paige, USA, Secretary, Governing Council, Center for Global Nonkilling 글렌다 페이지, 미국, 세계비살상쎈터지도리사회 서기

44.  Gloria Steinem, USA, Writer and Activist, Presidential Medal of Freedom Awardee 글로리아 스타이넘, 미국, 작가, 사회활동가, 대통령자유훈장수훈자

45.  Grace Cho, USA, Professor, College of Staten Island, City University of New York 조 그레이스, 미국, 뉴욕시립종합대학 스테이튼아일랜드대학 교수

46. Gwyn Kirk, USA, Women for Genuine Security 과인 커크, 미국, 《진정한 안보를 위한 녀성들》

47.  Hazel Smith, United Kingdom, Professor, University of Central Lancashire 헤이즐 스미스, 영국, 쎈트럴랭카셔종합대학 교수

48.  Helen Caldicott, Australia, Founding President of Physicians for Social Responsibility 헬렌 콜디코트, 오스트랄리아, 《사회적책임을 위한 내과의사들》 창설위원장

49.  Helena Wong, USA, U.S. National Organizer, World March of Women 헬레나 옹, 미국,《세계녀성행진》 미국 전국조직자

50.  Hope A. Cristobal, Guam, Former Senator 호우프 크리스토발, 괌도, 전 상원의원

51.  Hye-Jung Park, USA, Filmmaker, Community Media Activist 박혜정, 미국, 영화제작자, 주민지언론매체활동가

52.  Hyaeweol Choi, Australia, Professor,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최해월, 오스트랄리아, 오스트랄리아국립종합대학 교수

53.  Hyunju Bae, south Korea, Central and Executive Committee, World Council of Churches 배현주, 남조선, 세계교회리사회 중앙 및 집행위원회

54.  Ingeborg Breines, Norway, Co-President, International Peace Bureau; former Director UNESCO  잉게보르그 브레인즈, 노르웨이, 국제평화《뷰로》 공동위원장, 유네스코 전 국장

55.  Isabella Sargsyan, Armenia, Helsinki Citizens’ Assembly 이사벨라 싸르그샨, 아르메니야, 헬싱키시민대회

56.  Isabelle Geukens, Netherlands, Executive Director, Women Peacemakers Program 이사벨 구켄즈, 네데를란드, 녀성평화활동가계획 집행국장

57.  Jackie Cabasso, USA, U.S. Mayors for Peace 재키 카바쏘, 미국, 《평화를 위한 미국시장들》

58.  Jane Jin Kaisen, Denmark, Artist and Filmmaker 제인 진 카이센, 단마르크, 미술가, 영화제작자

59.  Janis Alton, Canada, Co-Chair, Canadian Voice of Women for Peace 제니스 앨톤, 카나다, 카나다 《평화를 위한 녀성들의 목소리》 공동의장

60.  Jean Chung, south Korea/USA, Founder, Action for One Korea 정연진, 남조선/미국, 《하나의 조선을 위한 행동》 창설자

61.  Jennifer Kwon-Dobbs, USA, Professor, St. Olaf College 제니퍼 권돕스, 미국, 쎄인트올라프대학 교수

62.  Jodie Evans, USA, Co-founder, Code Pink  죠디 에반스, 미국,《 코드핑크》 공동창설자

63.  Judy Rebick, Canada, Former President, National Action Committee on the Status of Women 쥬디 레비크, 카나다, 녀성지위에 관한 전국행동위원회 공동위원장

64.  Julie Young, USA, Board Chair, Korean American Story  쥴리 양, 미국, 재미조선인이야기리사회 의장

65.  Justine Kwachu Kumche, Cameroon, Executive Director, Women in Alternative Action—WAA 쟈스틴 콰추 쿰치, 까메룬, 《다른 행동의 녀성들》집행국장

66.  Kate Dewes, New Zealand, Former Member of United Nations Secretary General's Advisory Board on Disarmament Matters; Co-Director of the Disarmament and Security Centre 케이트 듀이즈, 뉴질랜드, 전 유엔사무총장 군축문제고문, 군축 및 안보쎈터 공동국장

67.  Kate Hudson, United Kingdom, General Secretary, Campaign for Nuclear Disarmament 케이 트하드슨, 영국, 핵군축운동 사무총장

68.  Kavita Ramdas, USA, Ford Foundation 캐비타램다스, 미국, 포드재단

69.  Khin Ohmar, Burma/Myanmar, Coordinator, Burma Partnership 킨 오마르, 먄마, 《버마 파트너십》조정관

70.  Kim Ku’ulei Birnie, Hawaii/USA, Women’s Voices, Women Speak 김 쿠울레이 버니, 미국 하와이, 《녀성들의 목소리》, 《녀성은 말한다》

71.  Kim Phuc, Canada/Vietnam, UNESCO Goodwill Ambassador 김 푸크, 카나다/윁남, 유네스코 선의의 대사

72.  Kozue Akibayashi, Japan, Intl. President, Women’s International League for Peace and Freedom 고즈 아끼바야시, 일본, 국제녀성평화자료동맹 국제위원장

73.  Krassimira Daskalova, Bulgaria, Professor, University of Sofia 크라시미라 다스깔로바, 벌가리아, 쏘피아종합대학 교수

74.  Krishanti Dharmaraj, USA, Executive Director, Center for Women’s Global Leadership 크리샨티 다르마라지, 미국,녀성세계지도자쎈터 집행국장

75.  Kyeong-Hee Choi, USA, Professor, University of Chicago 최경희, 미국, 시카고종합대학 교수

76.  Laura Hein, USA, Professor, Northwestern University 로라 헤인, 미국, 노스웨스턴종합대학 교수

77.  Leymah Gbowee, Liberia, 2011 Nobel Peace Laureate 레이마그보위, 리베리아, 2011년 노벨평화상수상자

78.  Lindsey German, United Kingdom, National Convener, Stop the War Coalition 린드지 져먼, 영국, 《전쟁중지련합》 전국조직자

79.  Lisa Natividad, Guam, President, Guahan Coalition for Peace and Justice 리자 나티비다드, 괌도, 《평화와 정의를 위한 괌도련합》 위원장

80.  Liza Maza, Philippines, former Parliamentarian; Gabriella Network 리자 마자, 필리핀, 전 국회의원, 가브리엘라운동련대

81.  Hon. Rev. Lois Wilson, Canada, Senator; Former Moderator of United Church of Canada 루이즈 윌슨, 카나다, 상원의원, 전 카나다련합감리교회장

82.  Luisa Morgantini, Italy, Member, European Parliament 루이자  모르간띠니, 이딸리아, 유럽의회의원

83.  Lydia Alpizar, Mexico, Executive Director, AWID (Association of Women's Rights in Development) 리디아 알피자르, 메히꼬, 《개발과정녀성권리협회》 집행국장

84.  Madeline Rees, United Kingdom, Secretary General, Women’s International League for Peace and Freedom 매덜린 리즈, 영국, 《평화와 자유를 위한 녀성국제동맹》 사무총장

85.  Mairead Maguire, Northern Ireland, 1976 Nobel Peace Laureate 매어리드 매과이어, 북아일랜드, 1976년 노벨평화상수상자

86.  Maja Vitas Majstorovic, Serbia, Gender Coordinator, Global Partnership for the Prevention of Armed Conflict 마자 비타스 마즈스트로비츠, 쎄르비아, 세계무장충돌방지동맹 성별간 조정자

87.  Margo Okazawa-Rey, USA, Professor Emerita,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마르고 오카자와-레이, 미국,  쌘프랜씨스코주립종합대학 명예교수

88.  Marilyn Waring, New Zealand, Professor of Public Policy, Auck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매릴린 워링, 뉴질랜드, 오클랜드기술종합대학 공공정책교수

89.  Marilyn Young, USA, Professor, New York University  매릴린 양, 미국, 뉴욕종합대학 교수

90.  Mary C. Murphree, USA, Sociologist  매리 머프리, 미국, 사회학자

91.  Medea Benjamin, USA, Co-founder, Code Pink  메디아 벤쟈민, 미국, 《코드 핑크》 공동창설자

92.  Meenakshi Gopinath, India, Women in Security, Conflict Management and Peace (WISCOMP) 미낙쉬 고피나스, 인디아, 《안전, 충돌관리 및 평화에서의 녀성》단체

93.  Megan Burke, USA, Director, International Campaign to Ban Landmines-Cluster Munitions Coalition  메간 버크, 미국, 국제지뢰-송이폭탄반대운동 련합국장

94.  Meredith Woo, USA, Open Society Foundations  메리디스 우, 미국, 개방사회재단

95.  Meri Joyce, Australia, Regional Coordinator, Global Partnership for Prevention of Armed Conflict  메리 죠이스, 오스트랄리아, 세계무장충돌방지련합지역 조정자

96.  Mimi Han, south Korea/USA, International Vice President, YWCA 한미미, 남조선/미국, 녀성청년그리스도교협회 국제부회장

97.  Mimi Kim, USA, Professor, Cal State University, Long Beach 김미미, 미국, 롱비취 캘리포니아종합대학 교수

98.  Mina Watanabe, Japan, Secretary General, Women’s Active Museum on War and Peace 미나 와따나베, 일본, 《전쟁과 평화에 관한 녀성활동박물관》 사무국장

99.  Nada Drobnjak, Montenegro, Member of Parliament 나다 드로브냐크, 몬테네그로, 국회의원

100.  Namhee Lee, USA, Professor,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리남희, 미국, 로스안젤스캘리포니아종합대학 교수

101. Nan Kim, USA, Professor, University of Wisconsin 김난, 미국, 위스콘신종합대학 교수

102. Nancy Ruth, Canada, Senator 낸시 루스, 카나다, 상원의원

103. Naomi Klein, Canada, Journalist and Activist  나오미 클레인, 카나다, 언론인, 사회활동가

104. Netsai Mushonga, Zimbabwe, Commissioner, Zimbabwe Electoral Commission; African Women Active Nonviolence Initiative for Social Change 네짜이 무숑가, 짐바브웨, 짐바브웨선거위원회 위원, 《아프리카녀성들의 사회적변혁을 위한  비폭력운동》

105. Nighat Said Khan, Pakistan, Executive Chair, DidiBahini 니가트 싸이드 칸, 파키스탄, 《디디바히니》 집행의장

106. Nina Tsikhistavi-Khutsishvili, Georgia, Board Chair, International Center on Conflict and Negotiation 니나 찌키스따비-꾸찌쉬빌리, 그루지야, 국제충돌 및 교섭쎈터리사회 의장

107. Nunu Kidane, USA, Board Member, Priority Africa Network 누누 키데인, 미국, 아프리카우선권련대망 리사

108. Patricia Thane, United Kingdom, Professor, Kings College 패트리시아 세인, 영국, 킹즈대학 교수

109. Penny Rosenwasser, USA, Founding Board Member, Jewish Voice for Peace 페니 로젠웨이써, 미국, 《평화를 위한 유태인의 목소리》 창설리사

110. Phyllis Bennis, USA, Director, New Internationalism Project,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필리스 베니스, 미국, 신국제계획, 정책연구소 국장

111. Regina Munoz, Sweden, Peace Activist 레기나 무노스, 스웨리예, 평화활동가

112. Rose Othieno, Uganda, Executive Director, Center for Conflict Resolution 로즈 오시에노, 우간다, 충돌해결쎈터 집행국장

113. Saloni Singh, Nepal, Executive Chair, DidiBahini 쌀로니 싱, 네팔, 《디디바히니》 집행의장

114. Sandra Moran, Guatemala, Co-Representative of Intl. Committee, Americas Region, World March of Women 싼드라 모런, 과떼말라, 세계녀성행진아메리카주지역국제위원회 공동대표

115. Setsuko Thurlow, Canada, International Educator, Hibakusha/A-Bomb Survivor 세쯔꼬 썰러우, 카나다, 국제교육자, 히바구샤원자탄피해생존자

116. Sharon Bhagwan Rolls, Fiji, Executive Producer, FemLINKpacific; Board Chair, Global Partnership for the Prevention of Armed Conflict  샤론 바그완 롤즈, 피지, 《펨링크퍼시피크》집행제작자, 국제무장충돌방지련대 리사

117. Shirley Douglas, Canada, Actor and Activist 셜리 더글러스, 카나다, 배우, 사회활동가

118. Simone Chun, USA, Journalist and Activist 전 싸이몬, 미국, 언론인, 사회활동가

119. Sophie Toupin, Canada, Women Peace and Security Network Canada 쏘피 투핀, 카나다, 《카나다녀성평화안전련대망》

120. Sung-ok Lee, USA, Assistant General Secretary, United Methodist Women 리성옥, 미국, 녀성련합감리교 사무차장

121. Suzuyo Takazato, Japan, Okinawa Women Act Against Military Violence 스즈요 다까자또, 일본, 《군사폭력반대 오끼나와녀성행동》

122. Suzy Kim, USA, Professor, Rutgers University 김수지, 미국, 라트거스종합대학 교수

123. Taina Bien-Aime, USA, Executive Director, International Coalition Against Trafficking in Women 타이나 비엔-에임, 미국, 국제녀성매매반대련합 집행국장

124. Tani Barlow, USA, Professor, Rice University 태니 발로우, 미국, 라이스종합대학 교수

125. Terrilee Kekoolani, Ko Pae'Aina Hawai'i, Kanaka Maoli 테릴리 케코올라니, 《코 패아이나 하와이》, 《카나카 마올리》

126. Terry Greenblatt, Israel/USA, The Ploughshares Fund 테리 그린블라트, 이스라엘/미국, 《플라우쇄어즈》기금

127. Rev. Unzu Lee, USA, Presbyterian Minister, Women for Genuine Security 리은주, 미국, 《진정한 안보를 위한 녀성들》장로교회 목사

128. Valerie Plame, USA, Former Covert CIA Operations Officer 발레리 플레임, 미국, 전 미중앙정보국 비밀요원

129. Visaka Dharmadasa, Sri Lanka, Founder, Association of War Affected Women 비싸카 다르마다싸, 스리랑카, 《전쟁피해녀성회》창설자

130. Wei Zhang, USA, Folk Art Researcher and Philanthropist 웨이 장, 미국, 민속예술연구사, 인도주의활동가

131. Wendi Deetz, USA, Global Fund for Women 웬디 디쯔, 미국, 세계녀성기금

132. Winnie Wang, USA, Center for Global Nonkilling 위니 왕, 미국, 세계비살상쎈터

133. Yayoi Tsuchida, Japan, General Secretary, Japan Council Against Atomic and Hydrogen Bombs 야요이 쯔지다, 일본, 일본원자탄수소탄반대리사회 사무총장

134. Yoonkyung Lee, Canada, Professor, University of Toronto 리윤경, 카나다, 토론토종합대학 교수

135. Youngju Ryu, USA, Professor, University of Michigan 류영주, 미국, 미시간종합대학 교수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16-10-26 10:21:12 새 소식에서 복사 됨]
추천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게시물
[KCTV 조선중앙텔레비죤 보도] 11월 17일 (금)
[KCTV 조선중앙텔레비죤 보도] 11월 16일 (목)
엘에이에서 윤석열 퇴진 촉구 촛불집회, 거리음악회 열려
엘에이 코리아타운에서 북과 남 해외 어린이 미술전 열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보도 정찰위성 성공적으로 발사
[사진으로 보는 노동신문] 11월 21일(화)
[사진으로 보는 노동신문] 11월 25일(토)
최근게시물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 제5차 전국어머니대회 참가자들과 기념사진을 찍으시였다
위인의 1분1초
적반하장의 낭설은 절대로 통할 수 없다
미국식이중기준은 우주공간에서도 절대로 통할수 없다
[KCTV 조선중앙텔레비죤 보도] 12월 8일 (금)
무모한 대우크라이나군사지원놀음은 참화를 부르는 자살적 망동이다
[KCTV 조선중앙텔레비죤 보도] 12월 7일 (목)
[KCTV 조선중앙텔레비죤 보도] 12월 6일 (수)
조선인권연구협회 대변인담화
[KCTV 조선중앙텔레비죤 보도] 12월 5일 (화)
[도서연재] 친일로 얼룩진 죄악의 행적 8
[사진으로 보는 노동신문] 12월 9일(토)
Copyright ⓒ 2000-2023 KANCC(Korean American 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All rights reserved.
E-mail:  :  webmaster@kancc.org